본문 바로가기

아프리카

연도별 칼로리 섭취량 변화는? (하루에 몇 칼로리 섭취가 평균일까? 1961년~) [칼로리 섭취량] 인간이 신체 운동을 통해 소비하는 열량은 경이적으로 낮다. 예를 들어 마라톤을 풀코스 완주하면 2,000~3,000kcal가 소비되는데, 하루 세 끼가 약 2,500kcal이며 피자 반 판 정도에 해당된다. 이족보행을 하는 인간은 지상 동물들 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동물이라, 같은 일을 했을 때 소비하는 열량이 다른 동물들에 비해 낮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하루 평균 칼로리 섭취량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61년, 칼로리 섭취량 1위는 스위스가 차지했다. 1위인 스위스는 하루에 평균 3576칼로리를 섭취하였다. 그리고 아일랜드, 폴란드, 핀란드, 아이슬란드,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덴마크, 불가리아가 10위 안에 들어왔다. 한국은 북한보다도 .. 더보기
하루 평균 가장 많은 담배를 구입하는 나라 순위 변화는? (하루에 담배 반갑씩? 1920년~) [담배 유입] 아시아에는 포르투갈 상인들에 의해서 필리핀으로 처음 전해졌다. 문헌 자료를 통해 추측해볼 때 한반도에는 17세기 광해군 때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광해군 당시 국무회의 때마다 조정관리들이 피우는 담배연기가 임금에게로 옮겨가니 화가 난 광해군이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하멜 표류기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의 어린아이들은 4, 5세만 되면 담배를 피운다고 적혀 있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담배 판매량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20년, 하루에 담배를 가장 많이 구입한 나라 1위는 핀란드가 차지하였다. 1위인 핀란드는 하루에 평균 3.6개비를 구입하였다. 그리고 그리스, 영국, 아일랜드, 미국, 뉴질랜드, 호주, 일본, 덴마크, 캐나다가 10위 안에 들어왔다. .. 더보기
국가별 1인당 의료비 지출 순위 변화는? (미국이 의료비 1위? 1995년~) [의료보험] 의료보험은 보험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의료행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보험이다. 여러 사람의 의료비용을 미리 모아서 지불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비용 대비 효과적인 의료행위를 지향하기 위한 제도이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1인당 의료비 지출비용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95년, 의료비 지출비용 1위는 미국이 차지하였다. 미국은 1년에 평균 3700달러가 넘는 비용을 의료비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위스, 모나코, 독일, 오스트리아, 산마리노, 룩셈부르크, 쿠웨이트, 카타르, 프랑스가 10위 안에 들어왔다. 한국은 1년에 500달러의 의료비를 지출하였다. 1999년, 의료비 지출비용 1위는 여전히 미국이 차지하였다. 모든 국가들이 의료비는 점차.. 더보기
연도별 치매로 인한 사망자수 변화는? (치매는 불치병? 1990년~) [치매] 치매는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및 인격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치매는 기억을 하고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장기적으로 점차 감퇴하여 일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에 이르게 된 넓은 범위의 뇌 손상을 의미한다치매는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및 인격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치매는 기억을 하고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장기적으로 점차 감퇴하여 일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에 이르게 된 넓은 범위의 뇌 손상을 의미한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치매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90년, 치매로 인한 사망자수 1위는 중국이 차지하였다. 중국은 16만명이 넘는 인구가 치.. 더보기
연도별 담배로 인한 사망률 순위 변화는? (한국 인구의 20%가 담배로 사망 1990년~) [흡연] 흡연(吸煙,喫煙)은 담배 등을 태워서 그 연기를 흡입하는 행위이다. 담배를 피우면 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이 허파로 들어와서 몸 안으로 흡수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담배를 피우지만 담뱃대나 물담배로 흡연을 즐기기도 한다. 흡연은 가장 보편화된 중독성이 있는 약물을 사용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마약과는 다르게 현대 사회에서 담배를 피우는 일은 기호화되어 있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담배로 인한 사망률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90년, 담배로 인한 사망률 순위 1위는 덴마크가 차지하였다. 사망률은 자그마치 31퍼센트로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한 인구가 3 분의 1이나 된다. 그리고 선진국들이 상위권에 올라와 있으며 아일랜드, 캐나다, 영국, 미국도 포함되어 있다... 더보기
연도별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수 변화는? (한국은 말라리아 안전지역? 1990년~)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플러스 모디움 속(genus Plasmodium)에 속하는 기생충이 척추동물의 적혈구에 기생하여 발생하는 감염 질환이며 이제까지 120여 종이 보고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약 33억 명이 말라리아 발생 위험지역에서 살고 있고, 매년 3-5억 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연간 200만 명 이상이 말라리아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열대열 말라리아에 의한 감염으로 전체 사망자의 약 87%가 아프리카 지역의 5세 미만 어린이에서 발생하고 있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90년,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수 1위는 나이지리아가 차지했다. 나이지리아는 인도에 비해 훨씬 적은 인구수임에도 불구하고 2배 정도의 인구가 사망했다.. 더보기
약물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는? (마약, 약물 중독, 프로포폴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 1990년~) [약물 중독] 의학적 용어로써의 ‘중독’은 약물에 의한 급성 독성 상태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술이나 마약 등에 중독되었다고 말할 때 쓰는 용어는 의학적으로는 ‘남용’과 ‘의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중독은 약물을 만성적으로 반복 투여할 경우 내성이 생기고, 약물의 사용을 중단하였을 경우 그 약물에 특징적인 생리적 또는 행동적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를 흔히 금단 증상이라고 부른다. 신체적 의존이란 특정 약물을 반복해서 투여할 경우 약물에 의해 신체적 균형 상태가 깨어지고 약물의 투여가 중단될 경우 깨어진 상태가 즉각 정상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불균형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심리적 의존이란 약물로 인하여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끼던 상태에서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심리적으로 불편함.. 더보기
익사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는? (바다, 강, 저수지에 빠져 죽는 인구수 순위 1990년~) [익사] 익사는 액체가 기도로 흡인되어 질식해 사망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질식사다. 기도를 폐쇄하는 데에는 소량의 물로도 충분하므로 물에 완전히 빠지는 수준이 아니더라도 익사할 수 있다. 익수사고 후 24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것을 익사라고 한다. 담수 혹은 해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해수의 경우 삼투압 작용으로 인해 폐포 내의 수분이 해수 쪽으로 이탈되며, 담수의 경우는 그 반대다. 비의도적 사망사고로 익사는 교통사고에 이어 2번째로 많이 죽는 원인이다. 아래의 글은 제가 만든 익사로 인한 사망자수 순위 영상에서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1990년, 익사로 인한 사망자수 1위는 17만 명으로 중국이 차지했다. 그리고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러시아, 베트남, 브라질, 미얀마, 나이지리아.. 더보기